Feuille du dictionnaire -> Boules de dictionnaire
Fiche (de citation et de dessins) -> module «Cellule »
Akène à aigrette -> porteur d'une phrase
Les fonctionnalités de ces objets sont modifiées :
Système linguistique -> système monétaire
Support d'écriture et de dessin -> structure de l'art
Élément végétal -> archives linguistiques
Ces transformations sont proposées pour une analyse et pour une recherche sur la signification de l’argent, d’une œuvre d’art et du don. Le prix d’une boule de dictionnaire est décidé par l’acheteur et le prix d’une œuvre d’art construite par des modules « Cellule » est fixé selon la valeur d’une boule de dictionnaire. L’akène à aigrette comme porteur de phrase est développé pour avoir le sens du don.
It’s about the art works constructed by three concepts of art on the transformations between different systems:
-A knowledge system -> art system (Inside the White Cube, 0-1)
-A linguistic system -> economic art system (Dictionary balls)
-A structure of nature -> a communication structure (Ce vent dont vous parlez nous porte loin de nous-mêmes)
The artist entered into a foreign language and built up linguistic archives by transcribing various texts. After years of work, the artist began to destroy them because there was a limit in the capacity of these archives. Instead of tearing up and throwing away quotation cards, the artist invented a module with which the artist began to build various structures about an art system. All the installations built with these modules are in a perpetual unfinished state: build, destroy and rebuild… 0-1 is built from the nine geometric shapes.
Dictionary balls are transformed from French-French dictionary. The balls put in a recycled jewelry box are sold in various places by the artist who wears a ball mask. The price is decided by each customer and the average price of a ball is used to calculate the price of other artwork.
Ce vent dont vous parlez nous porte loin de nous-mêmes is an ephemeral installation. A pappus entered by chance through the window of the studio and left its seed for the artist. Then the aritst picked up pappus, attached questions and sent them up in the air like a letter in a bottle floating in the sea.
All these artistic practices are created from a gesture of transformation that asks the artist to begin again every moment.
나는 3가지 예술 체계에 대한 개념을 변형 과정을 통해 구축하고 있다.
지식 체계 -> 예술 체계
언어 체계 -> 예술 경제 체계
자연 구조 -> 통신 혹은 미적 체계
첫번째는 필사를 통해 구축한 수천 장의 인용 카드로 구성된 아카이브를 파괴하며 만들어내기 시작한 예술 작업에 관한 것이다. 외(국)어가 지나가는 통로가 되면서 우연히 시작된 작업이다. 두번째는 이 외어의 의미 체계가 담긴 지식 구조물을 파괴하며 시작한 예술 경제 체계에 대한 재개입 작업에 관한 것이다. 세번째는 우연히 작업장 창에 들어와 씨앗을 날라온 꽃가루에게 그때 읽고있던 세익스피어의 문장을 들려 날려주며 시작한 예술 작업이다. 이것들은 이전과 다른 시공간이 나를 지나가며 시작될 수 있었던 작업들이다. 이 개념들은 작업들을 확장하고, 작업들과 함께 가지를 뻗는다. 나는 그 사이에 있다. 작업 자체가 진행되도록 거드는 보조자 혹은 장치일지도 모른다. 고치를 짓고 부수고 반복한다. 그러면서 새로운 나로 재구성된다.
어떤 곳을 우연히 보았다. 멀리서. 혹은 가까이서. 이 지점과 연결되는 통로가 될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했다. 이 지점과 연결되면서 나는 어떤 모습으로 재구성 될 수 있을까? 나를 통과하며 이어지는 각각의 점들은 어떤 변화의 과정을 거치게 될까? 가느다란 생각의 실오라기를 펼치기 시작했다. 작은 도서관이 보인다. 책들이 모여있는 곳은 나의 의식이 이주하여 머물 수 있는 공간이다. 십수년 전 한국이란 시공간으로부터 먼 곳으로 이주하였을 때, 나의 도서관은 파괴되었다. 파우스트, 아웃사이더, 지하생활자의 수기, 댈러웨이 부인, 햄릿, 봉인된 시간… 오랫동안 끼고 있었던 책들, 책 사이에 묻혀진 흔적들 모두 흩어졌다. 다른 언어에 들어왔을 때, 내가 주체가 되어 머물 수 있는 공간은 사라지고 다시 나타나지 않았다. 책들은 비물질화되었고, 나의 의식은 여러 텍스트의 작가들이 모이거나 지나가는 통로로 작동했다. 읽기행위의 개념이 변형되었다. 외어로 된 텍스트로 의식의 일부분이 새롭게 짜였다. 이 일부의 의식은 모어로 짜여진 의식 체계를 다시 변형시키고 있다. 이와같은 작업 과정이 나타날 공간이 필요하다.
내가 남길 수 있는 것은 짓고 부수고 남은 고치의 껍데기의 흔적 정도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나는 그런 누군가의 부스러기들로 구성되어있다. 잠시 엮이고 흩어지는 파편들, 나의 것은 아니다. 내가 보조자인 설치작업은 그 형태와 체계가 시공간에 따라 변형되어 새로운 모습으로 재구성되거나 해체되어 흩어질 것이다.
첫번째 예술 개념에 대한 작업, Inside the White Cube, (브라이언 오 도허티의 텍스트로부터 따온 제목), 주로 프랑스어로된 다양한 텍스트들이 인쇄된 A4용지, 읽고 접고 조립한 정육면체, 몸통 구축을 위한 공간, 2018년부터 시작된 프로젝트, 그림과 자연 물질을 봉하거나, 다양한 향기를 품은 티백껍질로 감싼 다양한 색과 모양을 띄는 모듈이 제작되고있다.
공간 구성 면의 구성을 위해 접히는 텍스트들은 새로운 지역의 언어와 엮여질 수 있다. 그에따라 형태와 구성 양식이 변형될 수 있다. 화이트 큐브에 대한 이론 구축과 실험이 확장될 수 있다. 그리고 지식 체계가 파괴되며 예술 체계가 생성되지만, 이 과정은 역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아카이브, 도서관 체계의 재구축이 진행될 수도 있을 것이다.
두번째 예술 개념에 대한 작업, 사전 공, 다른 언어(프랑스어)에 들어와 살면서 쓴 사전의 각 장을 공으로 변형, 다양한 장소에서 판매, 금액은 구매자가 정함, 개념이 적힌 영수증 지급, 사전 공의 평균 가격은 주식처럼 변환, 이후 첫번째 예술 개념 작업에 쓰이는 모듈의 가격과 연동시킴, 2015년부터 시작된 프로젝트.
‘사전 공'에 대한 개념은 프랑스어 속에서 구축되었고, 이를통해 예술 경제 체계에 대한 재개입을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주로 전시 공간 체계 외부에서 예술 체계에 개입하는 작업이다. 한국어권 지역에서 이 작업이 어떻게 이어질 수 있을까? 실험이 필요하다.
세번째 예술 개념에 대한 작업, 우리를 우리로부터 멀리 싣고갈 바람, 다양한 언어로 된 다양한 질문을 품은 꽃가루, 바다를 떠다니는 병에 든 편지처럼 하늘에 떠다니도록 설치, 수천의 질문을 다양한 곳에서 발송, 2017년부터 시작된 프로젝트.
세번째 예술 개념은 화폐 너머의 재능, 증여의 의미(don)를 탐구하는 작업으로 진행되고 있다. 각 사회에서 파생되고 있는 이들 의미는 일치하지 않는다. 다양한 시공간에서 재능, 증여, 예술 작업을 연결하는 의미 구축을 위한 실험이 필요하다.
Plusieurs versions pour expliquer du concept
Je m’intéresse à créer un écosystème de l’art. Cela implique une connexion entre le système de savoirs et le système de l’art, entre l’être humain et la nature, ainsi qu’entre le coréen (ma langue maternelle) et le français. Mon travail artistique peut être résumé comme suit : j’ai construit mes archives linguistiques pendant longtemps pour que je puisse comprendre la langue française, ensuite en les détruisant j’ai inventé un module qui est devenu un fragment pour la peinture et la sculpture. J’ai régulièrement vendu, dans des lieux variés, des boules transformées à partir des feuilles de dictionnaire par le prix décidé selon chaque acheteur. Ce prix changeant fait se déterminer le prix d’un module. J’envoie aussi de temps en temps des minuscules sculptures au ciel pour qu’on puisse les recevoir par hasard. Cette performance pose la question sur le don.
J’ai quitté la Corée et je suis venu en France. Le choix a été un peu par hasard. J’ai dû recommencer une autre vie à partir de presque rien. Après des années, je pense que j’ai enfin fait le premier pas. Je pense aussi que ce pas serait le dernier pas dans cette vie. Ce projet est un objectif d’achever ce cycle de vie et peut-être d’aller à un autre endroit ou à une autre étape de la vie. Dans ce cycle de vie, j’ai commencé à transcrire des textes variés à cause de mon impossibilité de comprendre cette langue étrangère étrange. Ce petit geste m’a amené petit à petit vers l’art. Pendant ce processus d’aller vers l’art, il y a eu des inventions des concepts sur l’art : il s’agit des 3 axes de pratiques artistiques et des transitions entre l’art, la nature et la science. Ce projet poussera jusqu’au fond la potentialité de ces concepts. J’ai commencé à détruire mes archives linguistiques accumulées pendant des années car je n’ai pas pu tout garder. Les fiches de citations sont devenu des modules avec lesquels j’ai construit des éléments variés autour des concepts « White Cube ». Cela concerne une transition entre le savoir (ou la science) et l’art. Une akène à aigrette est entré par hasard par la fenêtre de mon atelier et elle m’a donné sa graine. Je lui a donné une phrase du texte de Shakespear et je l’ai fait s’envoler en l’air comme une lettre dans une bouteille flottant dans la mer. Ensuite, j’ai envoyé plus de millier de lettres aux destinataires inconnus. Cela concerne une transition entre la structure de la nature et la structure de la langue. J’ai vendu des boules de dictionnaire, préparées en froissant des feuilles du dictionnaire, dans des lieux variés selon un prix décidé par chaque acheteur. Le prix moyen de ces boules est utilisé pour le calcul des prix des autres œuvres. Cela concerne une transition entre un système linguistique et un système monétaire.
몸과 의식이 외(국)어에 들어가서 살게되었는데, 이 말들을 이해할 수 없었다. 그래서 수많은 텍스트를 작은 종이에 옮겨 적으며 몸과 의식에 글을 기입하며 개인의 언어 아카이브를 구축했다. 이 작업을 시작한 지 수년 후, 아카이브와 기억 용량 초과로 인해, 새로운 텍스트 조각을 추가하려면 이미 있던 것을 솎아내야하는 상황이 되었다. 그렇게 아카이브 밖으로 나온 종이들을 파괴-구축의 과정을 통해 모듈로 변형시켰다. 지식체계에서 예술체계로 전환이 이루어졌다. 이것은 창작 활동의 하나의 축이 되었다. 누에고치가 뽕잎을 먹고 몸에서 실을 짜내는 것처럼, 읽고, 읽은 것으로 내 몸을 뉘일 고치를 짓는 방식의 작업을 진행한다. 두번째 축은 불불사전을 한장 한장을 찢어서 공으로 변형시키고 여기저기서 이것을 팔면서 그 개념이 형성되었다. 언어 체계에서 예술 경제 체계로의 전환이다. 각각의 공은 구입을 원하는 사람이 가격을 매겼다. 그래서 가격의 평균은 주식 시세처럼 변하게 되었다. 이 변형되는 가격은 모듈의 가격을 매기는 기준으로 적용되었다. 예술 가격 개념에 대한 하나의 개입이다. 세번째 축은 우연히 작업실 창으로 들어온 꽃가루에서 시작되었다. 그것은 나에게 씨앗을 주었고, 나는 그때 읽고 있던 셰익스피어의 글 한구절을 거기에 붙여서 창밖으로 날려보냈다. 다양한 언어로 다양한 질문들을 만들어서 하늘에 날려보내는 설치작업의 시작이었다. 자연의 체계에서 언어 체계로의 전환이다. 하나의 글쓰기 방식의 발명이 어어졌고, 번역 개념에 대한 개입이 적용된 작업으로 이어졌다. 이 세가지 접근 방식은 예술 개념을 연구하고 만드는 실험이고, 새로운 언어체계에 들어와서 새로운 의식을 짜내는 행위를 통해 실행하게 된 작업이다. 이것은 학문과 예술을 통해 새로운 자아 개념을 구축하는 작업으로 이어지고있다. 한국어로 재진입하며 짜여질 지식과 예술 체계가 만들어낼 설치 작업이 구축되기를 기다리고 있다.
Il est entré un peu par hasard dans la langue française. Elle était une langue étrangère étrange pour lui car cette langue était particulièrement différente de sa langue maternelle (le coréen). Il était difficile de comprendre le sens des mots avec un dictionnaire, il a donc décidé de construire ses archives linguistiques qui fonctionnent comme son dictionnaire privé. Il a transcrit des passages importants de textes variés qui racontent le sens des mots et l’accumulation des fiches de transcription lui fait approcher petit à petit à la compréhension des mots et des phrases. Cependant, il a dû commencer à détruire des fiches régulièrement, parce qu’il ne pouvait pas tout garder. Le premier geste artistique a été inventé : au lieu de déchirer et de jeter la fiche, il l’a plié et inventé un concept d’un module. Avec cette pratique, il a commencé à interpréter sur le système de l’art en construisant des appareils sur l’art : toile, mur, cube, socle, etc. Le deuxième geste artistique a été inventé par un froissement d’une feuille de dictionnaire. l’artiste a fabriqué des boules du dictionnaire par ce geste et les a vendu dans des lieux variés selon un prix décidé par chaque acheteur. Ce geste est également une intervention sur le système de l’art surtout du marché de l’art : le prix moyen d’une boule est calculé et utilisé comme le prix d’un module. Le troisième geste artistique a été commencé par hasard grâce à un akène à aigrette qui a été entré par la fenêtre de l’atelier de l’artiste et qui lui a donné sa graine. Il était en train de lire un texte de Shakespeare et il a collé une phrase de ce texte sur cet akène à aigrette. Il a ensuite fait s’envoler par la fenêtre. À partir de ce moment, il a ramassé des akène à aigrette et les a collé surtout des phrases interrogatives et les a envoyé en l'air comme une lettre dans une bouteille flottant dans la mer. Ces trois activités artistiques ont été commencé à partir d’un geste, simple et minuscule. L’artiste est en train de pousser ces gestes jusqu’au bout afin surtout de poser des questions : qu’est-ce que l’art ? comment faire de l’art ? pourquoi faire de l’art ? …